화면 깨진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 이렇게 연결하면 집에서 PC처럼 쓴다

시작하며

휴대폰이 고장 나서 버릴까 고민한 적 있다면, 이 방법을 먼저 확인해보는 게 낫다. 화면이 깨졌든, 터치가 안 되든, 삼성폰이라면 HDMI 연결만으로 '세컨드 컴퓨터'로 활용할 수 있다.

 

1. 고장난 폰을 다시 쓰게 된 계기

삼성 덱스 기능을 알게 된 후, 고장난 폰을 그냥 두기가 아까웠다.

나는 몇 년 전 쓰던 갤럭시 노트9가 있었다. 화면 일부가 깨져서 보기도 힘들었고, 터치도 잘 안 됐지만 전원은 들어왔다. 처음엔 폐기하려 했는데, 우연히 '삼성 덱스(Samsung DeX)' 기능이 있다는 걸 알게 되면서 생각이 바뀌었다.

결론부터 말하면, 지금은 그 고장난 폰으로 블로그 원고 초안 작성, 유튜브 감상, 구글 문서 작업까지 하고 있다.

 

2. 어떻게 연결하는 걸까?

삼성 덱스 + 허브 + 외부 모니터 조합이면 충분했다.

(1) 기본적으로 준비할 것들

우선, 아래 4가지만 있으면 된다.

  • 삼성 덱스(Dex) 기능이 지원되는 스마트폰
    (갤럭시 S8 이후 모델 대부분 가능)
  • HDMI 단자가 있는 모니터 또는 TV
  • USB-C 허브 또는 덱스 지원 도크
  • 마우스 + 키보드 (유선 또는 무선 모두 가능)

화면이 깨졌더라도, 전원이 켜지고 터치가 조금이라도 되는 상태라면 사용 가능하다. 만약 터치까지 완전히 안 되는 경우엔, 무선 마우스를 먼저 연결해야 한다.

 

📺 내가 구성한 연결 방식은 이랬다

연결 장비 역할 사용 장비
USB-C 허브 포트 확장 2만원대 알리 제품
HDMI 케이블 모니터 연결 기존 보유
모니터 외부 출력 FHD 27인치
마우스·키보드 입력 장치 로지텍 무선 세트
충전기 전원 공급 25W 고속 충전기

허브는 USB 포트 2개, HDMI, PD 충전포트까지 있는 제품을 골랐다. 연결만 잘 되면, 설정 없이 바로 삼성 덱스 모드로 전환된다.

 

3. 삼성 덱스를 쓰면 뭐가 달라지나?

처음에는 단순히 ‘화면을 TV에 띄우는 정도’라고 생각했지만, 생각보다 쓸 수 있는 게 많았다.

(1) 진짜 데스크탑처럼 마우스로 사용 가능

삼성 덱스를 켜면, 윈도우 느낌의 바탕화면과 작업표시줄이 뜬다. 내가 자주 쓰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인터넷 브라우저로 검색, 구글 드라이브 접속
  • 유튜브, 넷플릭스 등 영상 보기
  • 구글 문서·슬라이드 등 문서 작업
  • 네이버 메일, 캘린더 활용
  • 간단한 캐주얼 게임 (마우스로 조작 가능한 앱만 가능)

터치 대신 마우스를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라 조작이 훨씬 편했다. 키보드 단축키도 대부분 지원된다.

 

(2) 안드로이드 앱도 웬만하면 작동함

기존에 설치된 앱 중, 모바일 전용이 아닌 앱은 대부분 문제 없이 작동했다. 다만, 일부 앱은 화면 비율이나 마우스 조작이 어색할 수 있다.

 

4. 전원 문제는 어떻게 해결했을까?

장시간 사용하려면 충전 연결은 필수다.

USB 허브에 PD 충전 포트(Power Delivery)가 있는 제품이라면, 충전기까지 연결해줘야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내가 처음에 충전 없이 써봤더니, 1시간도 안 돼 꺼졌다.

📌 이건 꼭 알아두자

→ 삼성 덱스 모드는 전력을 많이 쓰기 때문에 충전 없이 쓰면 배터리가 빠르게 닳는다. 반드시 충전 연결을 동시에 해두는 게 좋다.

 

5. 이런 경우엔 추천하지 않는다

이 방법이 모든 고장난 폰에 해당하는 건 아니다.

(1) 완전히 부팅이 안 되는 폰

전원이 들어오지 않거나, 무한 재부팅 현상이 있는 경우에는 덱스를 실행할 수 없다.

(2) 삼성 덱스가 지원되지 않는 모델

갤럭시 A 시리즈나 일부 중저가 모델은 덱스를 지원하지 않는다. 삼성 공식 홈페이지에서 모델명을 검색해서 확인하는 게 안전하다.

(3) 외부 모니터가 없는 경우

노트북에 HDMI 입력 단자가 없다면, 별도 모니터 또는 TV가 반드시 필요하다. HDMI 입력이 아니라 출력 단자가 있는 노트북이라면 연결이 안 된다.

 

6. 이게 궁금했다: 인터넷 연결은 어떻게 할까?

와이파이만 되면 문제 없다.

기존 휴대폰처럼 와이파이 설정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터치가 안 되어서 설정이 어렵다면, 마우스를 먼저 연결해서 조작하면 된다. LTE나 5G 유심을 넣으면 셀룰러 데이터도 가능하지만, 나는 와이파이 연결만으로 충분했다.

 

7. 정리하면 이런 상황에서 쓸만했다

📌 이럴 땐 의외로 유용했다

  • 메인 컴퓨터가 고장 났을 때 임시 작업용
  • 출장지에서 가볍게 유튜브·문서 작업할 때
  • 서재나 거실 TV에 연결해 세컨드 기기로 쓸 때
  • 자녀나 부모님에게 간단한 인터넷 머신으로 제공할 때

무엇보다, 버리긴 아까운 고장난 삼성폰을 '생산성 있는 장비'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마음에 들었다.

 

마치며

쓸모 없어진 스마트폰 하나로 ‘작은 컴퓨터’를 하나 더 만든 셈이다. 별다른 비용도 들지 않았고, 기존에 갖고 있던 장비만으로 가능했다.

버리려는 삼성폰이 있다면, 한 번쯤 삼성 덱스를 활용해보는 것도 충분히 가치가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수노(SUNO) AI 프롬프트 잘 쓰는 법: 장르부터 송폼까지 쉽게 정리

애플워치 watchOS 26에서 달라진 애플워치 기능 총정리: 실사용 변화는?

DJI Studio 앱으로 360 영상 편집하는 기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