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노(SUNO) AI 프롬프트 잘 쓰는 법: 장르부터 송폼까지 쉽게 정리
시작하며
Suno AI로 음악 만들기, 어렵지 않다.
최근 AI 작곡 서비스인 Suno AI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막상 사용하려고 하면 어떤 문장을 써야 원하는 스타일의 곡이 나올지 막막한 경우가 많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프롬프트 작성법’이다. 프롬프트는 단순히 문장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AI에게 음악의 장르, 시대, 분위기, 악기, 감정, 구조 등을 명확하게 지시하는 방법이다. 이 글에서는 Suno AI에 적합한 프롬프트 작성법을 단계별로 정리해 보았다.
1. Suno AI는 어떻게 음악을 만들어낼까?
Suno AI는 프롬프트라는 짧은 문장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을 생성한다. 이 프롬프트에 따라 곡의 장르나 분위기, 사용되는 악기, 심지어 노래의 구조까지도 달라진다.
(1) 프롬프트란 무엇인가?
프롬프트는 AI에게 주는 지시문이다. 구체적으로 어떤 음악을 만들지에 대한 조건을 담는다. 예를 들어 “90년대 디스코, 펑키, 신스”라는 키워드만으로도 Suno는 해당 스타일에 맞는 곡을 자동으로 제작해준다.
(2) Suno AI의 장점
- 음악 이론을 몰라도 작곡 가능
- 간단한 키워드 입력만으로 곡 완성
- 유튜브, 게임, 광고용 BGM 등 다방면 활용 가능
- 가사 작성, 송폼 구성도 자동화
2. 좋은 프롬프트는 어떻게 써야 할까?
Suno AI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간결하고 명확한 키워드’다. 문장을 길게 쓰는 대신, 핵심만 담은 단어 중심의 입력이 훨씬 효과적이다.
📑 프롬프트 작성 시 꼭 넣어야 할 5가지 핵심 포인트
항목 | 설명 | 예시 키워드 |
---|---|---|
장르 | 음악의 스타일 | disco, ballad, trot, lo-fi |
시대 | 연도 또는 시대감 | 70s, 80년대, 90s, 2000s |
분위기 | 음악의 전체적 느낌 | dreamy, energetic, relaxed |
주요 악기 | 음악을 주도하는 악기 | saxophone, electric guitar, brass |
감정 | 음악이 표현할 감정 | 짝사랑, 슬픔, 설렘, 따뜻함 |
(1) 과도한 감정 표현은 피하자
“슬프고 신나고 차분하면서도 빠르고 강렬한” 같은 표현은 AI에게 혼란을 준다.
→ 두 가지 이하의 감정만 명확히 표현하는 것이 좋다.
(2) 문장이 아닌 키워드 중심으로 작성
- ❌ “90년대 디스코 스타일에 신나는 분위기의 곡을 만들어주세요.”
- ✅ “90s disco, energetic, synth, fast tempo”
3. 음악의 구성도 함께 고려하자
곡은 단순히 한 줄로 이어진 것이 아니라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를 ‘송폼(Song Form)’이라고 하며, Suno AI도 이를 반영해 음악을 만든다.
📑 Suno AI에서 자주 사용되는 송폼 구조 정리
구간 이름 | 한글 의미 | 역할 |
---|---|---|
Intro | 도입 | 곡의 시작 분위기 설정 |
Prelude | 전주 | 노래 시작 전 악기 중심 파트 |
Verse | 절 | 본문, 내용 전달 파트 |
Pre-Chorus | 프리코러스 | 코러스로 넘어가기 전 연결 구간 |
Chorus | 후렴, 코러스 | 가장 기억에 남는 핵심 멜로디 |
Interlude | 간주 | 보컬 없이 악기만 나오는 부분 |
Bridge | 브릿지 | 분위기 전환 또는 클라이맥스 전환점 |
Outro | 마무리 | 곡의 엔딩 분위기 구성 |
Postlude | 후주 | 마지막 악기 연주 |
End | 끝 | 완전한 종결 부분 |
4. 좋은 프롬프트와 나쁜 프롬프트 예시
(1) 나쁜 예시
“80년대 일본풍 시티팝으로 색소폰과 피아노가 중심적이고 재즈 느낌이 나는 음악을 만들어주세요.”
문제점:
- 문장이 너무 길다
- 키워드 간의 중복과 감정 표현이 모호
- AI가 판단하기 어렵다
(2) 좋은 예시
“80s city pop, saxophone, romantic mood, jazzy piano”
장점:
- 짧고 명확한 키워드 사용
- 분위기와 악기 구분이 분명함
- Suno AI가 해석하기 쉬움
5. GPT로 프롬프트 요약하는 방법
GPT에 다음과 같이 요청하면 자동으로 잘 정리된 키워드를 받을 수 있다.
"90년대 디스코 음악을 만들고 싶은데, 프롬프트용 키워드 6개로 정리해줘."
📑 예시 결과
항목 | 예시 키워드 |
---|---|
장르 | disco |
시대 | 90s |
분위기 | upbeat |
감정 | 활기찬 |
악기 | synth, bass |
스타일 | 펑키한 리듬 |
→ 이 키워드들을 Suno AI에 입력하면 바로 음악 생성 가능
6. 시대(연도)는 꼭 입력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같은 장르라도 연도만 바꿔도 곡의 분위기가 달라진다.
📑 ‘디스코’라는 프롬프트에 따른 시대별 분위기 차이
연도 | 특징 |
---|---|
70s | 펑키하고 리듬감 강함, 아날로그 악기 중심 |
80s | 신스 중심, 전자음 강조 |
90s | 댄스 느낌 가미, 템포 빠름 |
미기재 | Suno가 임의 해석 → 결과물 일관성 떨어짐 |
7. 실제 예시로 보는 트로트 프롬프트
“80s Korean trot, accordion, brass section, 애틋한 감정”
이렇게만 입력해도 짝사랑 트로트 같은 곡이 쉽게 만들어진다.
→ 프롬프트는 짧고 정확할수록 좋은 결과를 만든다.
마치며
Suno AI를 제대로 활용하고 싶다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프롬프트를 명확하게 쓰는 습관이다.
장르와 시대, 분위기, 감정, 악기를 핵심 키워드로 간결하게 정리하고, 곡의 송폼 구조도 이해하면 원하는 음악을 훨씬 빠르게 완성할 수 있다.
이제는 음악 지식 없이도 누구나 AI와 함께 나만의 음악을 만들 수 있는 시대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