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폴드, 진짜 잘 쓰는 사람만 아는 7가지 활용법

시작하며

일반 스마트폰은 이제 답답하게 느껴진다. 갤럭시 폴드를 5년 넘게 사용하면서 ‘접는’ 폰의 장점이 단순히 큰 화면만이 아니라는 걸 몸소 느끼고 있다. 폴더블폰을 왜 쓰는지, 그리고 폴드를 쓰면 어떤 기능이 특히 좋은지 일상 사례로 풀어보겠다.

 

1. 사진 찍을 때, 이건 폴드만 가능한 장점

셀카 찍을 때마다 흔들리고, 기대 놓을 자리 찾느라 애먹는다면? 폴더블폰은 그 자체가 '거치대'가 된다.

📸 혼자서 찍기 좋은 이유는 이거였다

  • 조개 모드로 책상 위에 세워두고 촬영 가능
  • 후면 카메라로 셀카 촬영 가능 (화질 유지)
  • 화면을 보며 촬영 각도 조절 가능

셀카나 브이로그 찍을 때 흔들림 없이 원하는 각도로 찍을 수 있었다. 특히 조개 모드는 개인적으로 여행 갈 때 정말 많이 활용했다.

내가 자주 겪은 상황: 친구들과 단체 사진을 찍을 때, 후면 카메라를 켠 채 커버 화면으로 미리보기를 보여줄 수 있어 누구나 화면을 보며 포즈를 잡을 수 있었다.

 

2. 영상 볼 때도 손 안 대고 보기 딱 좋다

폰으로 넷플릭스나 유튜브 자주 본다면, 거치대는 필요 없다.

📽️ 영상 볼 때 폴드가 좋은 이유는 이랬다

사용 상황 일반폰 갤럭시 폴드
누워서 보기 손으로 계속 들어야 함 조개 모드로 세워놓고 시청 가능
운동 중 영상 보기 별도 거치대 필요 폰만으로 세워서 시청 가능
각도 조절 제한적, 불안정 자유로운 각도 세팅 가능 (조개·텐트 모드)

한 가지 팁: 조개 모드 상태에서 각도를 좀 더 눕혀도 화면이 꺼지지 않게 하려면, 폰을 돌려서 가로모드로 바꾸면 된다. 이건 써보면 감탄 나오는 꿀팁이다.

 

3. 이건 진짜 꿀機能: 화면 전환 이어보기

영상이나 앱을 메인 화면에서 보다가 덮으면, 일반 스마트폰은 그대로 종료되기 마련이다.

하지만 갤럭시 폴드에는 '앱 이어서 보기' 기능이 있다.

🔄 덮어도 이어서 보는 방법 이렇게 쓴다

  • 설정 → 디스플레이 → ‘앱 이어서 사용’ 활성화
  • 영상 시청 중 덮으면, 커버 화면에서 이어서 재생
  • 화면이 꺼지는 걸 방지하려면 AOD 기능 조절

내가 이 기능을 꼭 쓰는 순간: 지하철에서 영상 보다가 급하게 폰 덮고 내릴 때. 커버 화면에서 바로 이어서 재생되니 진짜 편했다.

 

4. 폴드가 진짜 빛나는 순간: 멀티태스킹 할 때

일반폰에서 화면 분할하려면 꽤 번거롭고, 화면도 작아 실제 활용도가 떨어진다. 폴드에선 상황이 다르다.

🖥️ AI 번역부터 검색까지, 동시에 쓴다

  • 화면 분할로 GPT·제미나이 두 개 동시에 실행 가능
  • 검색 결과 비교에 최적화
  • 드래그로 텍스트 복사→바로 붙여넣기 가능

예시 상황: 영문 논문을 읽다가 의심 가는 문장 두세 줄을 동시에 GPT와 제미나이에 넣어봤다. 그중 더 자연스러운 번역을 골라서 사용.

실제 내가 자주 쓰는 조합: 브라우저 + AI 번역기 (GPT or 제미나이) → 문장 드래그 후 바로 옆 앱에 드래그해서 번역

 

5. 사진 정리도 더 빠르게 끝낸다

여러 장 사진 찍고 정리하는 과정, 은근히 귀찮다. 폴드는 그걸 줄여줬다.

🖼️ 사진 여러 장 찍고 정리하는 게 쉬운 이유

  • 카메라 UI 상단 버튼 누르면 사진 리스트 바로 확인 가능
  • 좋은 컷 하트, 나쁜 컷 삭제 빠르게 가능
  • 확대해서 확인도 간편

한 번에 정리하는 습관: 여행 중 하루치 사진을 폴드로 빠르게 정리하니, PC로 따로 옮길 필요도 줄었다.

 

6. 작업 흐름이 확실히 달라졌다

폴더블폰에서 가능한 작업 방식은 다르다. 특히 하단 ‘태스크바’와 화면 분할 앱 페어 기능은 자주 쓰면 진가가 드러난다.

📂 이런 방식으로 작업 루틴을 바꿨다

  • 자주 쓰는 조합: 브라우저 + 메모장
  • 두 앱을 ‘페어’로 저장해 한 번에 실행
  • 하단 바에서 바로 불러오기

예전엔 이렇게까지는 안 썼는데, 요즘은 아예 업무 루틴이 달라졌다.

 

7. 이 모든 기능, 결국 습관이 되면 일반폰 못 쓴다

처음엔 낯설고 어렵지만, 익숙해지면 다르다. 폴드는 화면이 크다는 것 이상으로, 쓰는 방식 자체를 바꿔 준다.

🧠 이건 실제로 써봐야 체감할 수 있는 차이점

  • 앱 전환 속도, 작업 집중도에서 큰 차이
  • 영상 시청, 촬영, 검색 등 모든 활동의 몰입감 증가
  • 결국엔 ‘폰’이 아닌 ‘작업 공간’처럼 느껴짐

내 결론은 이거였다: 단순히 ‘화면 크다’가 아니다. 쓸수록 생활 흐름이 바뀌는 디바이스다.

 

마치며

폴더블 스마트폰은 ‘갤럭시 폴드로 넷플릭스 크게 본다’가 전부가 아니다. 사진, 영상, 멀티태스킹, 번역, 작업 루틴까지 실질적인 생활 속 변화가 확실하게 느껴진다. 다만, 이런 기능은 써봐야 알 수 있는 것들이다. 기능을 알고만 있으면 소용없다.

폴드폰을 고민 중이라면, 단순 스펙보다 ‘내가 어떻게 쓸 건가’를 기준으로 판단해 보자. 지금 스마트폰이 답답하게 느껴진다면, 아마 폴더블로 넘어갈 때가 온 걸지도 모른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수노(SUNO) AI 프롬프트 잘 쓰는 법: 장르부터 송폼까지 쉽게 정리

애플워치 watchOS 26에서 달라진 애플워치 기능 총정리: 실사용 변화는?

DJI Studio 앱으로 360 영상 편집하는 기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