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공유기로 외부 접속 가능한 환경 만드는 두 가지 방법

시작하며

기가 인터넷으로 업그레이드했는데 외부 접속이 안 된다면? SK 공유기 기본 설정이 원인일 수 있다. 브릿지 모드와 DMZ 설정으로 해결 가능하다.

 

1. 기가 인터넷인데 외부 접속이 안 되는 이유부터 정리해보자

설정만 잘하면 VPN, 포트포워딩도 무리 없다

최근 아수스 공유기를 새로 들였는데, 외부에서 VPN을 통해 접속하려 하자 계속 실패했다. 알고 보니 SK 브로드밴드의 기본 공유 장비(SK 062)가 공인 IP를 쥐고 있어서, 그 뒤에 있는 내 공유기에서는 아무리 설정을 해도 외부 접속이 차단되는 구조였다.

직렬 연결 구조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SK 인터넷 회선 → SK 공유기(SKT 062) → 개인 공유기(아수스 등) → 각 방 인터넷

문제는 SK 공유기에서 NAT(주소 변환)를 수행하면서 개인 공유기는 사설 IP만 받게 되어, 외부에서 접근이 막힌다는 것이다.

 

2.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하려면 이렇게 해야 한다

SK062 공유기 설정에 들어가는 기본 순서

접속 방법을 알기 전에는 단순히 ‘비밀번호가 틀렸다’는 메시지만 나왔었다. 그런데 실제로는 장비 밑면에 있는 맥 주소·시리얼 번호 조합으로 암호를 만들 수 있었다.

SK062 관리자 접속 순서 요약

  1. 집안 유선 공유기 제거 후, PC를 직접 벽면 랜포트에 연결
  2. Windows에서 '네트워크 연결 보기' → '이더넷' 우클릭
  3. '자세히' 항목에서 IPv4 기본 게이트웨이 IP 확인
  4. 브라우저에 해당 IP 입력 후 접속
  5. 아이디: admin, 비밀번호: 맥주소 끝자리 6글자 + admin (대문자 변환 필요)

→ 암호가 여러 개일 수 있으니 2~3개 시도해보는 게 좋았다.

 

3. 브릿지 모드로 설정하면 외부 접속이 쉬워진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공유기를 메인 장비로 만드는 것

내가 선택한 방법은 바로 이 브릿지 모드 설정이었다. 공유기 기능이 두 번 겹치는 이중 NAT 구조를 제거하고, 아수스 공유기가 직접 공인 IP를 받게 만들어야 했기 때문이다.

브릿지 모드 장단점 요약

구분 장점 단점
브릿지 모드 공인 IP 직접 사용
외부 접속 안정적
VPN/포트포워딩 완벽 지원
SK 공유기 관리자 접속 불가
IPTV/인터넷전화 사용 불가

(1) 관리자 페이지 접속 → 기본 설정 → 네트워크(WAN) 메뉴 클릭

(2) '채널 모드'를 NAT → 브릿지로 변경

(3) 적용 후, 시스템 재시작(60초 대기)

(4) 개인 공유기 재시작하면 공인 IP 자동 할당됨

→ 이 설정 이후에는 아수스 공유기에서 VPN, NAS, 리모트 접속 모두 정상 작동했다.

 

4. 브릿지 모드가 어려울 땐 DMZ 설정으로 해결할 수 있다

IPTV 같이 꼭 필요한 서비스가 있다면 이 방법을 추천한다

나처럼 인터넷 단독 상품만 쓰는 경우엔 브릿지 모드가 최고지만, 부모님 댁처럼 IPTV, 인터넷 전화, AI 기기를 함께 쓰는 집이라면 DMZ 방식이 더 현실적인 대안이다.

DMZ 설정 요약

항목 내용
구조 SK 공유기: 공인 IP 보유, 개인 공유기: 사설 IP
장점 IPTV 등 통신사 서비스 유지 가능
설정 간단
단점 이중 NAT 구조 유지
일부 VPN 호환성 문제 가능
보안 강화 필요

DMZ는 모든 외부 포트를 개인 공유기로 통째로 전달해주는 설정이다. 구성도는 다음과 같다:

인터넷 회선 → SK 공유기(DMZ 설정) → 개인 공유기 → 기기들

 

5. DMZ 설정 전, 꼭 고정 IP 먼저 설정하자

고정 IP 없이 DMZ만 하면 설정이 풀릴 수 있다

DMZ 설정을 하려면 개인 공유기 내부 IP를 고정으로 먼저 설정해야 한다. 안 그러면 공유기 재부팅 시 IP가 바뀌고 DMZ 설정도 무효화된다.

고정 IP + DMZ 설정 순서

  1. 개인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 → 현재 할당된 사설 IP 확인
  2. SK062 관리자 페이지 접속 → '고정 IP 할당' 메뉴 클릭
  3. 개인 공유기의 맥주소와 사설 IP 입력 → 할당 IP 버튼 클릭
  4. ‘NAT → DMZ’ 메뉴로 이동 → 위에서 고정한 IP 입력 → 활성화 후 저장

이렇게 하면 외부에서 VPN 접속을 시도해도 개인 공유기까지 트래픽이 전달되므로, 포트포워딩과 VPN 설정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6. 브릿지 모드 vs DMZ,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상황별 선택 기준은 IPTV와 공인 IP 보유 여부

비교표: 브릿지 모드와 DMZ 설정 어떤 게 좋을까?

구분 브릿지 모드 DMZ 설정
IPTV/인터넷전화 사용 불가 사용 가능
공인 IP 직접 사용 가능 불가능
외부 접속 안정성 매우 높음 보통
설정 난이도 보통 쉬움
보안 설정 필요 보통 필수 (방화벽 등 강화 필요)

→ 나는 인터넷만 쓰기 때문에 브릿지 모드가 가장 간단하고 안정적이었다. 하지만 부모님 댁처럼 IPTV를 필수로 쓰는 환경에서는 DMZ 설정이 유일한 선택지였다.

 

마치며

기가 공유기를 새로 들여놓고 외부 접속이 안 된다고 고민했던 시간들이 이제는 해결됐다. 핵심은 SK 공유기의 구조를 이해하고, 환경에 맞는 설정을 고르는 것이었다. 직접 설정해보면서 느낀 건, 조금만 정보를 알면 누구나 충분히 가능한 작업이라는 점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수노(SUNO) AI 프롬프트 잘 쓰는 법: 장르부터 송폼까지 쉽게 정리

애플워치 watchOS 26에서 달라진 애플워치 기능 총정리: 실사용 변화는?

DJI Studio 앱으로 360 영상 편집하는 기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