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엑시노스2600 성능 공개되자 퀄컴이 긴장할 수밖에 없는 이유

시작하며

갤럭시 S26에 엑시노스2600 전량 탑재 가능성이 점쳐지며, 퀄컴 중심이던 AP 시장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단순한 성능 개선을 넘어, 삼성의 반도체·모바일 사업 수익성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1. 엑시노스는 왜 한동안 밀려났을까?

스냅드래곤 대체가 어려웠던 이유부터 살펴봤다.

(1) 2022년 엑시노스 S22 시리즈 병행 탑재

내 기억에도 S22까지는 엑시노스가 병행 탑재되었다. 하지만 그 당시 엑시노스 모델은 성능과 발열 이슈로 사용자 불만이 적지 않았다.

(2) GOS 사태 이후 퇴출된 엑시노스

2022년 GOS(Gaming Optimization Service) 논란으로 스마트폰 성능 저하 문제가 불거졌다. 이 여파로 2023년 갤럭시 S23부터는 엑시노스 전량 제외라는 강수를 두었다.

(3) 수율 문제로 신뢰 떨어진 파운드리

2025년까지도 수율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스마트폰에 맞는 물량 공급이 어려웠다. 내가 보기에, 수율 이슈는 단순히 기술 문제가 아니라, 삼성 파운드리의 신뢰도 전반을 흔드는 부분이었다.

 

2. 성능이 달라졌다, 엑시노스2600의 변화

이제는 퀄컴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 발전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1) 긱벤치 성능 점수에서 퀄컴과 대등한 수준

최근 긱벤치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엑시노스2600은 퀄컴 스냅드래곤 최신 모델과 성능 차이가 거의 없는 수준이다. 이는 전작과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2) 전량 탑재 전략, 수익구조 변화 예고

삼성이 이번에 꺼낸 카드는 “전 모델 엑시노스화”. 물론 올해도 플래그십 일부는 퀄컴을 사용할 가능성이 크지만, 보급형·중급기부터 점진적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3) 내가 주목한 변화: 내부 AP로 원가 절감

지금까지는 퀄컴 칩 한 개당 수십만 원의 비용을 감수해야 했다. 반면 엑시노스는 5만원 미만으로, 원가 절감 폭이 크다. 나처럼 제품 마진을 중요하게 보는 입장에서는, 이 부분이 결정적이다.

 

3. 삼성 엑시노스2600 전환이 가져올 기대 효과 정리

📊 표로 보는 전환 효과 핵심 요약

항목 퀄컴 스냅드래곤 엑시노스2600 변화 요약
칩당 원가 15만~30만원 5만원 미만 약 3~6배 차이
공급 방식 외부 구매 자체 생산 영업이익 상승
설계 부서 퀄컴 삼성 시스템 LSI 내부 매출 발생
제조 부서 TSMC 등 삼성 파운드리 수율 개선 시 검증 확보
활용 영역 스마트폰 중심 스마트폰, 노트북, 웨어러블, 자동차 등 AI 중심 확장 가능

 

4. 삼성이 엑시노스를 반드시 성공시켜야 하는 이유

단순한 자존심 싸움이 아니다. 삼성 전체 사업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1) 모바일 사업 수익성 회복

퀄컴 칩이 워낙 비싸서, 갤럭시를 아무리 많이 팔아도 수익은 퀄컴이 가져가는 구조였다. 이번 전환으로 삼성이 수익을 자사로 돌릴 수 있는 구조로 바뀐다.

(2) 파운드리 신뢰 회복

엑시노스2600이 성공하면, 제조를 맡는 삼성 파운드리의 기술력도 간접적으로 검증된다. 다른 기업들이 파운드리 위탁을 다시 고려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3) 시스템 LSI 사업부 매출 증가

엑시노스는 삼성 시스템LSI가 설계하는 대표적인 시스템 반도체다. 채택이 늘어나면 설계 매출 자체가 증가하게 된다.

 

5. 퀄컴 의존도를 줄이려면 어떤 단계를 밟아야 할까?

갤럭시 전 라인업 전환은 단기 목표가 아니다.

  • 플래그십은 당분간 퀄컴 유지
    현재 울트라 모델 등 최고급형에는 스냅드래곤이 계속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 중급기부터 단계적 전환
    사용자 체감 성능과 수율 안정성이 입증되면, 2026~2027년 이후에는 울트라 모델도 엑시노스 적용 가능성이 있다.
  • 장기 전략: 미디어텍, 퀄컴 사용 완전 종료
    과거에는 중저가 모델에 미디어텍 칩도 탑재했었는데, 앞으로는 전 모델 엑시노스 일원화가 삼성의 최종 목표다.

 

6. 엑시노스2600 성공 시 삼성전자 실적 변화 예상

📊 전환 후 주요 사업부 영향 정리

부문 기존 구조 엑시노스2600 성공 시 효과 요약
모바일 사업부 원가 부담↑, 수익성↓ 칩 단가↓, 마진 개선 영업이익 상승
시스템 LSI 외주 설계 수요 적음 엑시노스 채택 증가 내부 매출 확대
파운드리 사업부 수율 신뢰↓, 고객이탈↑ 성능·수율 검증 확보 신규 고객 확보 가능

 

7. AI 시대에 엑시노스가 가진 확장 가능성

단순한 스마트폰 칩이 아니다. 엑시노스는 미래형 플랫폼이다.

(1) AI 노트북, 스마트홈, 웨어러블까지 진출

최근 내가 본 삼성 노트북에는 이미 엑시노스 기반 AP가 들어가기 시작했다. 특히 MPU(Machine Learning Processing Unit) 탑재로 AI 연산이 가능해졌고, 이 기능은 스마트 가전, IoT, 웨어러블, 자동차 전장 부품까지 확산되는 추세다.

(2) 삼성 가전 제품군과도 시너지

삼성이 워낙 다양한 가전 제품군을 갖고 있어, AP가 전 가전에 탑재될 가능성도 있다. 내가 보기에, 엑시노스의 진짜 역할은 ‘플랫폼 칩’으로 진화하는 것에 가깝다.

 

마치며

엑시노스2600은 단순한 모바일 AP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수익성, 기술력, 브랜드 자존심까지 삼성 전체 사업의 전환점이 될 수 있는 결정적 순간이다. 당장 모든 모델에 전량 탑재는 어렵겠지만, 중장기적으로 퀄컴 의존도를 낮추고, 반도체 부문 전반의 체질 개선을 이끌 가능성은 충분하다.

나 역시 이번 모델이 실제 출시되면, 체감 성능과 발열, 배터리 효율 등을 직접 확인해볼 생각이다. 만약 이전과 다른 수준의 품질이 입증된다면, 삼성의 AP 전략은 완전히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게 될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수노(SUNO) AI 프롬프트 잘 쓰는 법: 장르부터 송폼까지 쉽게 정리

애플워치 watchOS 26에서 달라진 애플워치 기능 총정리: 실사용 변화는?

DJI Studio 앱으로 360 영상 편집하는 기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