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소 충전 케이블 15W vs 60W, 가격 같다면 어떤 걸 사야 할까?

시작하며

15W와 60W 충전 케이블 중 어떤 걸 사야 할지 고민된다면, 지금 쓰고 있는 스마트폰 충전 속도와 발열, 그리고 케이블 하나로 노트북까지 충전할 수 있는지까지 따져보는 게 좋다. 이 글에서는 PD 충전의 개념부터, 실제 다이소 제품으로 비교한 선택 기준까지 간단하고 명확하게 정리했다.

 

1. PD 충전이란 무엇이고 왜 중요할까?

케이블이나 어댑터가 아니라 ‘충전 방식’의 규격이다.

‘PD(Power Delivery)’는 단순한 브랜드명이 아니라, USB-C를 통해 기기와 충전기 사이에 전력을 협상(PD Negotiation) 하여 최적의 속도로 충전하는 규격이다. 즉, 단순히 고속 충전이 되는지 안 되는지를 넘어서서, 기기가 원하는 만큼의 전력만 안전하게 주는 기능이 포함된 것이다.

PD가 적용되면 기기에서 "나는 9V까지 받을 수 있어"라고 먼저 알려주고, 충전기와 케이블이 이 요청을 수용해서 전력을 공급하는 구조다. 덕분에 과충전 걱정이 없고, 발열도 줄일 수 있다.

 

2. PD 충전 제품, 이렇게 확인한다

이건 헷갈릴 수 있지만 몇 가지만 보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 어댑터 출력에 9V / 12V / 20V 등 고전압이 명시되어 있다면 PD 충전 가능
  • KC 인증과 함께 PD 3.0 같은 표기가 있으면 안정성 확인 가능
  • 아이폰의 경우: 30분에 약 50%까지 충전 가능하면 PD 적용된 것
  • 갤럭시의 경우: ‘초고속 충전’이라는 문구로 확인 가능
  • USB 테스터기를 사용할 수 있다면: 9V 이상 출력 시 PD 충전 확정

나는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어서 처음에는 20W 충전기만 써도 괜찮겠지 싶었다. 하지만 실제로 30분 만에 50% 가까이 올라가는 속도를 경험하고 나니, PD 충전의 중요성을 체감하게 됐다.

 

3. 15W vs 60W 케이블, 어떤 차이가 있을까?

비슷해 보여도 성능 차이는 확실히 있다.

구분 15W 케이블 60W 케이블
충전 속도 일반 충전 속도 고속 충전 가능
PD 충전 지원 제한적 대부분 지원
노트북 충전 가능 여부 불가 가능
무게/휴대성 더 가볍고 얇음 약간 무겁지만 범용성 높음
가격대 2,000~3,000원 3,000~5,000원
추천 용도 서브폰, 서브 충전용 메인폰, 태블릿, 노트북 모두 가능

개인적으로는 한 번 살 때 60W 이상 케이블을 사는 게 훨씬 낫다고 본다. 실제로 15W 케이블도 써봤는데, 충전 속도가 확실히 느렸고, 외장 SSD를 연결할 때 속도 저하도 느껴졌다. 이후에는 다이소 60W C to C 케이블로 갈아탔다.

 

4. 고속 충전 중 발열, 정상일까?

충전 중 뜨거워지는 건 당연한 현상이다. 하지만 ‘정도’가 중요하다.

  • 손으로 만졌을 때 따뜻한 수준: 정상
  • 손으로 잡기 힘들 정도의 열기: 어댑터나 배터리 점검 필요
  • 충전 중 케이블이 뜨겁거나 불안정할 때: 저품질 케이블일 가능성 있음

나도 한 번, 저가형 충전기를 썼다가 충전 중 케이블이 너무 뜨거워져서 바로 교체한 적이 있다. 그때 이후로는 꼭 KC 인증 + PD 지원 제품만 고른다.

 

5. 다이소 충전기, 정말 괜찮을까?

가격이 저렴하다고 해서 무조건 나쁜 건 아니다. 핵심은 ‘PD 지원 + KC 인증’ 여부다.

제품명 가격 출력 특징
C to C 케이블 (60W) 3,000원 최대 60W 스마트폰, 노트북 충전 가능
PD 지원 케이블 (데이터 속도 향상) 5,000원 최대 60W 데이터 전송 속도 빠름
PD 어댑터 (25W) 5,000원 5V~9V~12V 아이폰/갤럭시 고속 충전 가능

다이소에서 3,000원짜리 60W 케이블을 구매해봤을 때, 아이폰 충전 속도도 만족스러웠고, 맥북까지 충전이 가능해서 서브용으로 매우 만족했다. 물론 데이터 전송은 느리기 때문에 파일 전송이 잦다면 5,000원짜리 제품이 더 낫다.

 

6. 이런 분들에게는 60W 케이블이 더 낫다

60W 케이블이 적합한 상황들

  • 스마트폰 외에 태블릿이나 노트북도 함께 충전할 계획이 있는 경우
  • 외장 SSD, USB 허브 등 연결을 자주 하는 경우
  • 하나의 케이블로 모든 장비를 커버하고 싶은 경우
  • 충전 속도를 조금이라도 빠르게 하고 싶은 경우

나는 출장 갈 때 60W 케이블 하나만 챙긴다. 무게가 아주 가볍지는 않지만, 노트북과 휴대폰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보다 효율적인 선택은 없었다.

 

7. FAQ로 한눈에 정리해 보기

Q. 60W 케이블로 휴대폰 충전하면 과충전 되지 않나요?

아니요. PD 협상 기능 덕분에 기기에서 필요한 만큼만 받아서 충전되므로 과충전은 없다.

Q. 다이소 15W 케이블은 쓰면 안 되나요?

반드시 안 되는 건 아니지만, 충전 속도가 느리고 범용성이 낮다.

Q. 60W 케이블은 발열이 더 심한가요?

아니고, 출력이 크더라도 기기가 받는 만큼만 쓰기 때문에 발열은 동일하거나 더 안정적이다.

 

마치며

15W 케이블이 가볍고 휴대성은 좋지만, 요즘 같은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는 60W 케이블 하나로 커버하는 편이 더 합리적이다. 과충전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충전할 수 있고, 노트북까지 대응 가능한 유연함도 갖췄다.

나도 한때는 ‘굳이 60W까지?’라는 생각이 있었지만, 사용해보니 효율성이 전혀 다르다는 걸 실감하게 됐다. 특히 다이소 제품이 의외로 QC, PD 규격을 잘 지켜주기 때문에, 저렴하면서도 실용적인 선택이 가능했다.

같은 가격이라면, 무조건 60W 케이블을 고르는 게 낫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수노(SUNO) AI 프롬프트 잘 쓰는 법: 장르부터 송폼까지 쉽게 정리

애플워치 watchOS 26에서 달라진 애플워치 기능 총정리: 실사용 변화는?

DJI Studio 앱으로 360 영상 편집하는 기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