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지텍 MX Master 3S 제대로 활용하는 5가지 설정 방법

시작하며

로지텍 MX Master 3S는 그립감과 디자인도 훌륭하지만, 제대로 설정하면 작업 효율이 눈에 띄게 달라진다. 이 글에서는 나도 직접 사용하며 유용했던 기능 5가지를 중심으로, 입문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설정 방법을 정리해보았다.

 

1. 엄지 버튼과 제스처 기능을 알면 활용도가 달라진다

엄지 옆 버튼 하나로 최대 5가지 동작까지 설정할 수 있다면 어떨까?

(1) 기본 기능만 쓰기엔 아까운 엄지 버튼

MX Master 3S를 처음 연결하면, 기본값으로 엄지 버튼은 '작업 보기(Task View)'로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Logi Options+ 소프트웨어에서 쉽게 다른 기능으로 변경할 수 있다.

  • 파일이나 폴더 열기
  • 스크린샷 찍기
  • 특정 앱 실행
  • 단축키 입력

이처럼 평소 자주 사용하는 작업을 할당하면 클릭 한 번으로 모든 것이 가능해진다.

나의 경우에는 이 버튼을 ChatGPT 실행에 연결해 놓았다. 작업 중 갑자기 궁금한 게 생기면 브라우저를 켤 필요 없이 바로 질문을 시작할 수 있어서 정말 편하다.

 

(2) 제스처를 설정하면 5가지 기능이 가능

엄지 버튼을 단순 클릭이 아닌 '제스처'로 확장하면 총 5가지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 단순 클릭
  • 클릭 + 위 방향 이동
  • 클릭 + 아래 방향 이동
  • 클릭 + 왼쪽 이동
  • 클릭 + 오른쪽 이동

이 제스처 설정은 Logi Options+에서 엄지 버튼 → 제스처 → 'Custom' → 동작 선택으로 간단히 설정할 수 있다.

이 기능만 제대로 활용해도 마우스 하나로 하는 작업이 훨씬 많아졌다. 나는 볼륨 조절, 창 정리, 음악 재생/일시정지 등을 각각 제스처에 넣어 두었다.

 

2. 반복되는 작업은 Smart Actions로 자동화하자

한 번 클릭으로 여러 작업을 연속 처리할 수 있는 자동화 기능이 있다.

(1) 한 번 설정하면 매일이 편해진다

Smart Actions는 단순히 단축키를 입력하는 수준이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를 켜자마자 Word, Excel, 프로젝트 폴더를 동시에 여는 기능을 하나의 버튼에 묶을 수 있다.

나도 출근하자마자 하는 작업들이 거의 정해져 있어서, 이 기능을 쓰고 나서 매일 아침 손이 훨씬 덜 바쁘다.

 

(2) 설정 방법도 의외로 간단하다

  1. Logi Options+ 실행
  2. 원하는 버튼 클릭
  3. Smart Actions 선택
  4. 'Create Smart Actions' 클릭
  5. 트리거 버튼 선택 → 하단에 연속 동작 지정

내가 넣어둔 자동화 작업 예시

트리거 버튼 동작 1 동작 2 동작 3
휠 버튼 Outlook 실행 업무용 폴더 열기 Chrome에서 업무 웹페이지 열기

이렇게 반복되는 시작 루틴을 한 번에 실행하면 집중력이 흐트러질 틈이 줄어든다.

 

3. MagSpeed 휠, 스크롤이 아닌 생산성 도구

휠의 감도와 반응성까지 생각한 마우스는 흔치 않다.

(1) 손맛이 다르다: Ratchet vs Free-Spin

MX Master 3S의 휠은 일반 휠이 아니다. 스틸로 제작된 MagSpeed 휠은 두 가지 모드를 갖고 있다.

  • Free-Spin 모드: 빠르게 회전해 긴 문서를 스무스하게 넘김
  • Ratchet 모드: 단계별로 걸리는 느낌이 있어 정확한 스크롤 가능

이 두 모드는 마우스 상단의 Shift Wheel Mode 버튼으로 수동 전환할 수 있다. 하지만 SmartShift 기능을 활성화하면, 스크롤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전환된다.

 

(2) SmartShift 설정은 여기서 가능하다

Logi Options+ → 'Point and Scroll' → Scroll Wheel → SmartShift 켜기

빠르게 넘기다가도 정확하게 멈춰야 할 때 스스로 모드를 바꿔주는 기능이 생각보다 꽤 유용했다. 특히 엑셀이나 PDF 볼 때 확실히 체감된다.

(3) 휠 클릭도 설정 가능

휠을 클릭하는 기능은 기본적으로 비어 있다. 이 버튼 역시 제스처나 Smart Actions에 활용 가능하다. 마우스에서 가장 손에 가까운 위치라서, 나의 경우엔 여기엔 '웹 페이지 탭 닫기'를 넣어두었다.

 

4. 앱마다 다른 설정으로 더 유연하게

모든 앱에서 같은 버튼 설정을 쓰기엔 비효율적이다.

(1) 앱별 프로필 기능으로 작업별 최적화

Logi Options+에서는 앱별로 버튼 설정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Chrome에서는 휠 버튼 = 탭 닫기
  • Excel에서는 휠 버튼 = 수식 입력 창 열기
  • 프리미어 프로에서는 휠 = 타임라인 줌

이렇게 설정해두면 매번 손으로 키보드를 누르지 않아도 되고, 작업 속도에 집중할 수 있다.

 

(2) 사용 방법

  1. Logi Options+ 실행
  2. 원하는 버튼 클릭
  3. ‘앱별 프로필 추가’ 선택
  4. 앱을 선택하고, 각 버튼에 기능 지정

각 앱에 맞게 설정한 이후엔 자연스럽게 마우스를 앱별 도구처럼 사용하게 된다.

 

5. 🖥 Easy-Switch 기능으로 기기 전환도 간편하게

기기 3대까지 한 마우스로 연결할 수 있다는 점, 생각보다 훨씬 유용하다.

(1) 기기별 프로파일, 클릭 한 번이면 전환

MX Master 3S의 하단에는 Easy-Switch 버튼이 있다.

  • 1번: 데스크톱
  • 2번: 메인 노트북
  • 3번: 업무용 서브 노트북

나는 이렇게 세팅해두고, 기기를 옮길 때마다 번거로운 페어링 없이 클릭 한 번으로 전환하고 있다.

 

(2) 키보드까지 같이 쓰면 완성

로지텍 MX Keys 키보드도 Easy-Switch 기능이 있어서, 마우스와 키보드를 같은 번호로 맞춰두면 세트처럼 함께 전환된다. 특히 USB 포트가 부족한 노트북 환경에선 정말 유리하다.

 

마치며

MX Master 3S는 그 자체로도 훌륭한 마우스지만, Logi Options+를 제대로 활용하면 작업 도구 이상의 가치를 느낄 수 있다.

내가 처음 이 마우스를 쓰기 시작했을 땐 단순히 ‘편한 마우스’ 정도로 생각했지만, 설정을 조금씩 바꾸며 지금은 ‘작업 속도’를 체감할 정도로 달라졌다.

초보자라도 위의 5가지 기능만 익히고 설정해두면, 기존에 쓰던 마우스와는 전혀 다른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수노(SUNO) AI 프롬프트 잘 쓰는 법: 장르부터 송폼까지 쉽게 정리

애플워치 watchOS 26에서 달라진 애플워치 기능 총정리: 실사용 변화는?

DJI Studio 앱으로 360 영상 편집하는 기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