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I 포켓3 단품으로 시작하고 활용도 높이는 방법 정리

시작하며

DJI 포켓3를 크리에이터 콤보 대신 단품으로 구매해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지 고민된다면, 이 글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가격 대비 만족도 높은 구성과 실사용 중심의 대안들을 소개한다.

 

1. 포켓3 크리에이터 콤보보다 단품을 선택한 이유

가격차가 20만원, 그 이상일 수도 있다.

포켓3 단품과 크리에이터 콤보의 차이는 명확하다. 추가 배터리 핸들무선 마이크의 유무다. 이 두 가지가 포함되어 있느냐 없느냐로 가격이 약 20만원 정도 차이가 난다.

처음에는 콤보 세트를 살까 고민도 했지만, 결국 단품으로 선택했다. 이유는 단순하다. 꼭 필요한 기능만, 더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포켓3 단품 사용자에게 필요한 필수 액세서리 2가지

꼭 필요한 건 배터리 핸들, 무선 마이크 단 두 가지다.

아래는 실제로 내가 쓰고 있는 구성과 그 이유다.

 

(1) 정품 배터리 핸들 대신 '텔레신 셀카스틱 배터리'

  • 가격: 약 53,000원 (2025년 기준 해외 직구가)
  • 배터리 용량: 10,000mAh (정품의 약 10배 이상)
  • 추가 장점: 셀카봉 기능 겸용 (최대 90cm 확장 가능)

나는 처음에 일반 보조배터리를 연결해서 썼다. 하지만 C타입 단자를 위쪽으로 올려야 하고 거치할 때마다 흔들려서 실사용에는 너무 불편했다.

그래서 이 셀카봉 겸용 배터리를 선택했다. 확실히 잘 만든 느낌이 들었다. 고정 케이블, 미끄럼 방지 손잡이, 충전 안정성까지 모두 만족스러웠다.

내가 이걸 고른 이유: 단순히 저렴해서는 아니었다. 실제로 촬영하면서 들고 다니기 편하고, 촬영 흐름을 끊지 않게 해주는 액세서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2) 마이크는 정품보다 보야 무선 마이크로 대체

  • 보야 WM3T2 무선 마이크 (2채널)
  • 가격: 약 12~14만원대
  • 기능: 무선 2채널 수음, 충전 중 사용 가능
  • 장점: 수음 게이지 확인 가능, 외부 소음 분리력 뛰어남

크리에이터 콤보의 장점 중 하나가 무선 마이크다. 그런데, 이 마이크 역시 대체할 수 있었다. 내가 선택한 건 보야 WM3T2.

실제로 사용해보면 기본 내장 마이크보다 수음 품질이 훨씬 안정적이다. 도서관 홀처럼 울리는 공간에서도 소리의 전달력이 좋아진다.

나중에는 이 마이크도 바꾸게 됐는데, 보야 링크 C2라는 제품이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줬다. 노이즈 캔슬링, 충전 단자 내장, 음질 향상 등 이유가 명확했다.

써보며 느낀 점: 기본 마이크는 한계가 뚜렷했다. 야외 촬영 시에는 무조건 외장 마이크를 쓰는 게 나았다.

 

3. 포켓3 단품 세팅으로 활용도 높이는 실제 예시

이 구성만으로도 크리에이터 콤보 못지않은 활용이 가능하다.

 

(1) 셀카봉을 활용한 항공샷 느낌 촬영

  • 액티브 트랙 기능과 셀카봉 확장 조합
  • 최대 90cm 확장 가능해 '위에서 아래로 찍는' 구조적 구도 가능
  • 삼각대 모드로 고정 촬영 시에도 안정성 확보

예를 들어, 책이나 사물을 바닥에 두고 위에서 촬영해야 할 때 셀카봉을 늘리고 고정만 시켜줘도 자연스러운 항공샷 연출이 가능했다.

기본 기능인 피사체 추적(ActiveTrack)과 조합하면, 셀카봉을 확장한 상태에서도 인물이나 물체를 자연스럽게 따라가며 촬영할 수 있다.

 

(2) 마이크 수음 품질 차이 실제 비교

구분 기본 마이크 보야 WM3T2 마이크
공사 소음 환경 목소리 작게 들림, 소음과 섞임 소음 분리되어 목소리 또렷
울리는 실내 (도서관) 에코 현상 있음 명료도 향상, 울림 최소화
충전 중 사용 불가능 충전하면서 사용 가능

마이크 바꾸고 나서: 같은 장소인데도 목소리 전달력과 몰입도가 다르게 느껴졌다. 콘텐츠 완성도에 확실히 영향을 줬다.

 

4. 포켓3 단품 구매 전후 고려해야 할 3가지 체크포인트

(1) 콤보 가격보다 액세서리 개별 구매가 저렴한지 확인할 것

  • 콤보 가격 vs 단품 + 액세서리 구매 비용 비교 → 내가 구매한 조합 기준으로는 단품+배터리셀카봉+무선 마이크 모두 합쳐도 콤보보다 저렴했다.

(2) 촬영 스타일에 맞는 액세서리를 고를 것

  • 브이로그, 인터뷰, 풍경 촬영 등 각 상황에 따라 액세서리 구성도 달라진다.
  • 꼭 필요한 구성부터 시작해 점점 늘리는 게 효율적이다.

(3) 직구 제품은 AS와 호환성도 미리 확인할 것

  • 일부 액세서리는 DJI 공식 앱이나 본체와의 완벽 호환이 어려울 수도 있음
  • 실사용 후기를 꼭 참고하고, 고정 연결 방식인지 확인하는 것이 좋다.

 

5. 이렇게 세팅하면 단품으로도 후회 없는 선택이 된다

'단품은 기능이 부족할 것'이라는 생각은 바뀌었다.

포켓3 단품만으로도 충분히 퀄리티 있는 콘텐츠 촬영이 가능했다. 중요한 건 장비 자체보다는 내가 필요한 기능이 무엇인지,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지를 먼저 정리하는 것이었다.

나처럼 초기 투자비용을 줄이면서도 기능을 포기하고 싶지 않다면, 이런 세팅은 충분히 고려해볼 만하다.

 

마치며

포켓3 단품으로 시작하면서 느낀 건, 꼭 정품 콤보 세트가 아니어도 충분히 만족스러운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나처럼 실사용 위주로 고민하고 있다면, 위의 구성을 참고해서 자신만의 조합을 완성해보길 추천한다.

이 글이 장비 구매 전 고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수노(SUNO) AI 프롬프트 잘 쓰는 법: 장르부터 송폼까지 쉽게 정리

애플워치 watchOS 26에서 달라진 애플워치 기능 총정리: 실사용 변화는?

DJI Studio 앱으로 360 영상 편집하는 기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