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깐 윈도우에서 인터넷 안 될 때 가장 먼저 할 일

시작하며

윈도우를 새로 설치했는데 인터넷이 안 된다면, 가장 먼저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의심해봐야 한다. 드라이버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맞지 않는 드라이버가 설치된 경우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1. 윈도우 설치 후 인터넷이 안 되는 근본적인 이유

내가 처음 이 문제를 겪은 건, 윈도우를 포맷한 후였다. 자동 설치 프로그램으로 드라이버를 깔았는데도 여전히 인터넷이 되지 않았다.

가장 큰 원인:
바로 내 컴퓨터 메인보드와 정확히 일치하는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윈도우 초기화나 새 설치를 하면 기존 드라이버가 사라지기 때문에, 수동 설치가 필요하다.

 

2. 자동 설치 프로그램보다 메인보드 공식 드라이버가 중요한 이유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해야 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호환성과 안정성 때문이다.

공식 홈페이지 드라이버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구분 자동 설치 프로그램 메인보드 제조사 공식 홈페이지
호환성 낮음 (일반화된 드라이버) 높음 (메인보드별 최적화)
안정성 중간 (일부 오류 발생 가능) 높음 (충돌·블루스크린 적음)
버전 최신성 낮음 (구버전일 가능성 높음) 높음 (출시 직후 등록됨)

나도 처음에는 자동 설치 툴을 사용했지만, 결국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정확한 모델명을 찾고 설치한 후에야 제대로 작동했다.

 

3. 내 메인보드 모델명은 어떻게 확인할까?

다행히 이 과정은 인터넷이 안 되는 상태에서도 할 수 있다.

내가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단축키로 시스템 정보 확인
  • 윈도우 키 + R → msinfo32 입력 → 확인
  • 베이스보드 제조 업체’ : 메인보드 제조사
  • 베이스보드 제품’ : 메인보드 모델명

이 정보만 알면, 해당 모델에 딱 맞는 드라이버를 찾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 작업은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가능하다는 점이 포인트다.

 

4. 인터넷 안 될 때 스마트폰으로 드라이버 다운받는 방법

인터넷이 안 되면 ‘다운로드는 어떻게 하느냐’는 고민이 생길 수 있다. 나도 처음엔 이게 제일 막막했다.

하지만 이렇게 해결했다:

  • 스마트폰으로 드라이버 다운로드
    스마트폰에서 구글 검색에 제조사 이름 + 드라이버 입력
    예: Gigabyte 드라이버
    공식 홈페이지 접속 → 제품 모델 입력 → ‘드라이버’ 카테고리 선택 후 네트워크 항목 다운로드
  • USB 등으로 컴퓨터에 옮기기
    스마트폰에서 다운받은 드라이버를 USB에 복사
    컴퓨터에 연결해서 설치

스마트폰만 있으면 다른 장비 없이도 충분히 가능하다. 내가 실제로 사용한 방법이기도 하다.

 

5. 유선/무선 드라이버는 따로 구분되어 있다

내 메인보드는 유선 랜 포트가 있는 제품이라 ‘유선 드라이버’만 설치하면 됐지만, 무선 랜이 있는 경우는 조금 다르다.

📑 드라이버 종류 구분은 이렇게 하면 된다:

구분 클릭할 항목 설치 용도
유선 랜 LAN, Realtek LAN 등 유선 케이블 연결용
무선 랜 Wireless LAN, Intel WiFi 등 와이파이 연결용
블루투스 Bluetooth 블루투스 기기 연결용

내가 이걸 골랐던 이유:
무선 드라이버는 와이파이와 블루투스가 묶여있는 경우가 많아서, ‘인텔 와이파이 드라이버’ 하나로 둘 다 해결되는 경우가 많다.

 

6. 드라이버 설치는 압축 풀고 더블클릭만 하면 끝

드라이버 파일은 대부분 압축(.zip) 형태로 되어 있다.

설치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압축 풀기 (마우스 우클릭 → 압축 풀기)
  • 설치 파일(.exe)을 더블클릭
  • 자동 설치 완료

별도 설정 없이 거의 자동으로 설치가 진행되기 때문에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아도 어렵지 않다. 나 역시 컴퓨터에 큰 지식 없이도 한 번에 설치할 수 있었다.

 

7. 이렇게 하면 집에 컴퓨터 한 대만 있어도 문제없다

인터넷이 안 되는 상황에서도 스마트폰과 USB만 있다면 문제는 해결 가능하다. 드라이버를 설치했는데도 인터넷이 안 되는 경우, 정확한 모델의 드라이버가 맞는지부터 다시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반드시 확인할 점은 다음과 같다:

  • 메인보드 모델명이 정확히 일치하는가?
  • 최신 버전 드라이버가 맞는가?
  • 설치 후 재부팅을 했는가?

이런 기본적인 확인만 잘해도 대부분의 문제는 해결된다. 실제로 나도 재부팅 후 바로 인터넷이 연결됐다.

 

마치며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거나 초기화했을 때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다면, 대부분은 네트워크 드라이버 문제였다. 자동 설치 프로그램에만 의존하지 말고, 메인보드 공식 홈페이지에서 정확한 모델명을 기준으로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한다. 스마트폰으로도 충분히 해결 가능한 만큼, 당황하지 말고 차근차근 시도해보길 권한다.

이 글은 실제로 내가 직접 겪은 문제를 해결했던 방법을 바탕으로 정리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수노(SUNO) AI 프롬프트 잘 쓰는 법: 장르부터 송폼까지 쉽게 정리

애플워치 watchOS 26에서 달라진 애플워치 기능 총정리: 실사용 변화는?

DJI Studio 앱으로 360 영상 편집하는 기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