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 스위치 2, 전작과 뭐가 다를까? 기능 비교 및 실사용 후기

시작하며

닌텐도 스위치 2가 드디어 2025년 6월 5일 정식 출시되었다. 많은 유저들이 기다렸던 차세대 휴대용 게임기이자 거치형 하이브리드 기기로, 이번 제품은 7.9인치 디스플레이, 고사양 프로세서, 완전히 새로워진 조이콘 등 많은 변화를 담고 있다. 특히 가격 64만8,000원이라는 점은 큰 관심사 중 하나로, 스위치 1세대 대비 30만 원가량 오른 셈이다.

이 글에서는 실제 구성품, 외형 변화, 게임 성능, 업그레이드 요소까지 하나하나 짚어보며, 스위치 2가 과연 살만한 제품인지 꼼꼼하게 따져본다.

 

1. 닌텐도 스위치 2, 진짜 달라졌을까?

닌텐도 스위치 2는 단순한 후속작이 아니라, 하드웨어부터 사용자 경험까지 크게 달라졌다.

📑 스위치 1세대와 2세대의 주요 변화

항목 닌텐도 스위치 1세대 닌텐도 스위치 2
출시 시점 2017년 2025년
디스플레이 6.2인치 / HD 7.9인치 / FHD, 120Hz, HDR10
프로세서 NVIDIA Tegra X1 NVIDIA 커스텀 Tegra T239
RAM 4GB LPDDR4 12GB LPDDR5X
저장공간 32~64GB eMMC 256GB UFS
마이크로 SD 일반 microSD microSD Express 최대 2TB
조이콘 방식 슬라이드 결합 자석 기반 결합
무게 약 398~420g 534g
독(Dock) 변화 팬 없음 팬 내장, 포트 재배치

 

2. 가격, 왜 이렇게 올랐을까?

(1) 처음부터 비싼 가격은 아니었다

  • 닌텐도 스위치 초기 출시가는 36만원 수준이었다.
  • OLED 버전에서도 41만5,000원이었으나, 스위치 2는 무려 64만8,000원.
  • 8년 사이 물가상승과 반도체 가격 등을 고려해도 부담스러운 수준이라는 평이 많다.

(2) 가격 인상의 실제 원인들

  • 고성능 프로세서와 RAM 3배 증가
  • 256GB UFS 저장 공간 탑재
  • 고주사율 디스플레이 및 HDR10 지원
  • 독(Dock) 쿨링팬 포함 및 설계 변화
  • 조이콘 마그네틱 구조 전환

 

3. 디자인과 조작감, 휴대성은 좋아졌을까?

크고 무거워졌지만, 조작감은 좋아졌다는 평가가 많다.

📑 디자인과 외형 변화에서 주목할 점

  • 전체적으로 사이즈가 커져 8인치 태블릿급 느낌.
  • 베젤이 얇아지지 않아 화면이 넓어졌다는 체감은 덜함.
  • 뒷면 스탠드는 ‘U자형’으로 바뀌어 안정성 향상.
  • 자석 방식 조이콘은 탈착이 쉬우면서도, 맥세이프처럼 딸깍하고 붙는 재미가 있음.

(1) 조이콘 2, 뭘 바꿨나?

  • IR 센서 삭제로 부가 기능 축소
  • C버튼 추가로 음성 채팅 기능 연동
  • 버튼, 스틱, 그립감 모두 커져서 조작감은 더 좋아졌다
  • 자석 방식 덕분에 내구성은 강화, 하지만 다소 흔들리는 단점도 있음

(2) 무게는 534g, 부담될 수 있다

  • OLED 모델 대비 약 100g 가까이 증가
  • 들고 다니는 비율이 높은 사용자에겐 아쉽다는 평가도 있음
  • 실제 사용해 보면 “TV 연결 비중이 높은 사용자”에게 적합한 무게라는 의견이 많음

 

4. 성능 변화, 확실히 체감될까?

그래픽 성능과 반응속도 모두 업그레이드된 점이 두드러진다.

📑 성능 업그레이드에서 달라진 핵심 요소

  • GPU: 암페어 아키텍처 기반 → DLSS 3, 레이트레이싱 지원
  • NPU: 99 TOPS → AI 기반 얼굴 추적·음성 인식 기능 탑재
  • RAM: 4GB → 12GB LPDDR5X
  • 저장소: 64GB eMMC → 256GB UFS
  • microSD Express 슬롯 지원 (기존 microSD 사용 불가)
  • TV 연결 시 최대 4K 60Hz 출력 가능

(1) 게임 실행 속도와 프레임

  • 기존 젤다 게임 로딩: 느림, 프레임 드랍 있음
  • 스위치 2에서는 로딩 속도 빨라지고 프레임도 안정적
  • 게임에 따라 60fps 이상 방어 가능, 특히 스위치 2 에디션 게임에서 두드러짐

(2) 그래픽 향상은 분명하지만, 디스플레이는 LCD

  • OLED가 아닌 LCD 탑재 → 최대 밝기, 시야각은 다소 아쉬움
  • 색감 정확도, 화이트 밸런스는 개선되었다는 평가
  • 향후 OLED 모델도 별도 출시 가능성 높음

 

5. 새로 추가된 기능, 실사용에서 유용할까?

단순한 하드웨어 향상을 넘어 소프트웨어, 기능도 달라졌다.

📑 실사용에서 느낀 스위치 2의 유용한 기능들

  • 마이크 내장 → 음성 채팅 및 AI 음성 인식 지원
  • USB-C 타입 외장 카메라 지원 → 웹캠으로도 가능
  • 새 Dock은 팬 내장 → 장시간 플레이 시 발열 관리
  • 마우스 보드 지원 → 일부 게임에서 마우스로 조작 가능
  • 조이콘 찾기 기능 → 소리+진동으로 위치 파악 가능
  • 게임체이(채팅) 기능 → 최대 12인 음성 채팅 가능 (2026년 3월까지 무료)
  • 화면 공유 최대 4인까지 지원

(1) microSD Express는 빠르지만 비싸다

  • 기존 microSD와 호환 안 됨
  • 256GB 기준 10만 원대, 2TB는 더 고가
  • 내장 저장소가 256GB라 어느 정도 커버는 가능

(2) 전용 게임 에디션, 업그레이드 패스로 지원

  • 기존 보유 게임은 업그레이드 패스(약 1만 원)로 전환 가능
  • 스위치 2 전용 에디션은 화질·프레임 모두 업그레이드

 

마치며

닌텐도 스위치 2는 단순한 리뉴얼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 설계된 차세대 게임기라고 할 수 있다. 성능, 기능, 연결성, 저장 용량 등 모든 면에서 확실히 발전했지만, 그만큼 무게와 가격이라는 부담도 함께 커졌다.

TV에 연결해 거치형으로 주로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최고의 선택이 될 수 있지만, 휴대성을 우선하는 사용자에겐 여전히 1세대나 OLED 모델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실제로 들고 다니며 플레이하는 비중이 작다면, 고화질·고프레임 환경에서 즐기는 스위치 2의 가치는 충분히 크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수노(SUNO) AI 프롬프트 잘 쓰는 법: 장르부터 송폼까지 쉽게 정리

애플워치 watchOS 26에서 달라진 애플워치 기능 총정리: 실사용 변화는?

DJI Studio 앱으로 360 영상 편집하는 기본 방법